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아한테크
- error페이지 설정
- 테크톡
- oracle
- 이클립스로딩
- 이클립스느림
- sql error [936] [42000]: ora-00936
- 이클립스무한로딩
- 오버로딩
- 다형성
- this
- Java
- sql error [1] [23000]: ora-00001
- 메모리낭비적은string연산
- java크롤링
- this()
- 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s
- 티스토리챌린지
- 이클립스로딩지연
- git
- 오블완
- 프로그래머스
- sql error [947] [42000]: ora-00947
- 테이블복사생성
- 생성자오버로딩
- 조건위치 효율성
- 이클립스형광줄
- Sequence
- ecleemma
- select즐겨찾기
목록전체 글 (467)
코딩항해기
어제부터 아파서 유용한 데이터 사이트만 정리했다.. 전염성 질병 외에도 늘 조심... 공공데이터 공공기관이 전자적으로 생성 또는 취득하여 관리하고 있는 모든 데이터베이스(DB), 전자화된 파일로, 공공기관이 만들어 내는 모든 자료나 정보, 국민 모두의 소통과 협력을 이끌어내는 공적인 정보를 말한다. 각 공공기관이 보유한 공공데이터 목록과 국민에게 개방할 수 있는 공공데이터를 포털에 등록하면 누구나 쉽게 접근해 사용할 수 있다. 공공데이터를 얻을 수 있는 주요 사이트https://www.data.go.kr/ 공공데이터 포털국가에서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데이터를『공공데이터의 제공 및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제11956호)』에 따라 개방하여 국민들이 보다 쉽고 용이하게 공유•활용할 수 있도록 공공데이터(D..
패키지 매니저npm(Node Package Manager)과 yarn은 Node.js 환경에서 사용되는 패키지 관리자다. 프로젝트의 의존성을 관리하고, 필요한 라이브러리를 설치하며, 버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차이점yarn은 병렬 설치를 지원하여 npm보다 일반적으로 더 빠른 설치 속도를 보여준다. npm도 최신 버전에서 성능이 크게 개선되었다. yarn은 보안을 강화하기 위해 체크섬을 사용하며, 설치된 패키지의 무결성을 검증한다. npm yarn 명령어 비교초기화# npmnpm initnpm init -y # 기본값으로 설정# yarnyarn inityarn init -y # 기본값으로 설정 설치# npmnpm install # package.json의 모든 ..
파일 및 디렉토리 조작 명령어ls디렉토리 내용을 보여줌-l: 상세정보 표시-a: 숨김파일 포함-h: 파일크기 사람이 읽기 쉽게 표시ls -la: 숨김파일 포함하여 상세정보 표시ls -lh: 파일크기를 읽기 쉽게 표시cd디렉토리 이동~: 홈 디렉토리..: 상위 디렉토리.: 현재 디렉토리cd ~: 홈 디렉토리로 이동cd ..: 상위 디렉토리로 이동pwd현재 작업 디렉토리 경로 표시-pwd: 현재 경로 표시mkdir새 디렉토리 생성-p: 중간 경로도 함께 생성mkdir -p dir1/dir2: 중간 디렉토리 포함 생성rm파일/디렉토리 삭제-r: 디렉토리 삭제-f: 강제 삭제rm -rf dir: 디렉토리 강제 삭제cp파일/디렉토리 복사-r: 디렉토리 복사-i: 덮어쓰기 전 확인cp -r dir1 dir2: 디렉..

TypeScriptTypeScript는 Microsoft에서 개발한 JavaScript의 슈퍼셋 프로그래밍 언어다. JavaScript에 정적 타입을 추가하여 코드의 안정성과 가독성을 높여주며, 대규모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특히 유용하다. 기본 타입 시스템TypeScript의 가장 큰 특징은 정적 타입 시스템이다. JavaScript의 동적 타입과는 달리, 변수와 함수의 타입을 명시적으로 선언할 수 있다. // 기본 타입 선언let name: string = "홍길동";let age: number = 25;let isStudent: boolean = true;let numbers: number[] = [1, 2, 3, 4, 5];let tuple: [string, number] = ["홍길동", 25];/..

N+1 문제N+1 문제는 ORM을 사용할 때 발생하는 대표적인 성능 문제다. 하나의 쿼리로 N개의 데이터를 가져온 후, 연관된 데이터를 가져오기 위해 N번의 추가 쿼리가 발생하는 현상을 말한다. 예시게시글과 댓글의 관계를 예로 들면, 한 게시글에는 여러 개의 댓글이 달릴 수 있는 일대다 관계일 때,더보기@Entitypublic class Post { @Id @GeneratedValue private Long id; private String title; @OneToMany(mappedBy = "post", fetch = FetchType.LAZY) private List comments;}@Entitypublic class Comment { @Id ..

ACID데이터베이스에서 ACID는 트랜잭션이 안전하게 수행된다는 것을 보장하기 위한 성질을 나타내는 약어다. 각각 Atomicity(원자성), Consistency(일관성), Isolation(격리성), Durability(지속성)를 의미한다. 이 네 가지 특성은 데이터베이스의 무결성을 보장하는 핵심 요소이다. Atomicity (원자성)원자성은 트랜잭션의 작업이 모두 성공하거나 모두 실패해야 함을 의미한다. 예시는 계좌 이체 상황이다.try { // 트랜잭션 시작 connection.setAutoCommit(false); // A계좌에서 돈을 출금 String debitQuery = "UPDATE accounts SET balance = balance - ? WHERE ac..

데이터 로딩 전략의 기본 개념데이터베이스 프로그래밍에서 Lazy Loading과 Eager Loading은 데이터를 불러오는 두 가지 주요 전략이다. 각각의 전략은 고유한 특징과 사용 사례를 가지고 있으며, 애플리케이션의 성능과 사용자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친다. Lazy Loading Lazy Loading은 데이터가 실제로 필요한 시점에 로드하는 방식이다. 처음에는 기본 데이터만 로드하고, 관련 데이터는 실제로 요청이 있을 때 추가로 로드한다. 이는 마치 책의 목차를 먼저 보고, 관심 있는 페이지를 필요할 때 펼쳐보는 것과 같다. 초기 로딩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지만, 여러 번의 데이터베이스 호출이 발생할 수 있다는 단점도 존재한다. // Lazy Loading 예시const user =..

ORM Object-Relational MappingORM은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하여 호환되지 않는 유형의 시스템 간의 데이터를 변환하는 프로그래밍 기술이다. 객체와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의 데이터를 매핑하는 것을 의미한다. ORM을 사용하면 SQL 쿼리 없이 데이터를 데이터베이스에 편하게 저장하고 관리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 설계와 비즈니스 로직사이의 간극을 줄여주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ORM의 사용은 코드의 가독성을 높이고, 유지 보수를 용이하게 하며, 데이터베이스와의 결합도를 낮줘 개발 과정을 더욱 효율적으로 만들어 준다. ORM은 다양한 프로그래밍 언어와 프레임워크에서 지원된다. Java의 Hibernate, Python의 SQLAlchemy, Ruby의 ActiveRecord 등..

집에서 부모님이 보시던 책이 있길래 보다가 액션스크립트 책을 찾게 되었다. 최근에는 잘 들어보지 못한 느낌이라 찾아봤는데, 확실히 최신 글이 없었고, 어도비 플래시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나 웹 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한 언어라는 것을 알게되었다. 어도비 플래시는 없어지고 애니메이트로 바뀌었기 때문에 사어에 가까운 느낌 인 것 같다. 현재는 HTML5와 JavaScript로 대체되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아주 많이 어릴 때 멋도 모르고 항상 읽으면서 게임을 만들고 싶다고 꿈꿨던 책인데, 이제는 사용되지 않는 언어라니 기분이 묘하다. 아무튼 액션스크립트는 ECMA스크립트를 기반으로 하는 스크립팅 언어이며, 주로 어도비 플래시 및 어도비 플래시 플레이어를 사용하는 소프트웨어나 웹사이트를 개발하기 위해 (웹 페이..

CSS 방법론CSS 방법론은 CSS를 효율적이고 유지보수하기 쉽게 작성하기 위한 일련의 규칙과 가이드라인이다.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CSS를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필수적이다. 필요에 따라 여러 방법론을 혼합해 사용한다. CSS 방법론 종류BEM (Block Element Modifier)가장 널리 사용되는 CSS 방법론으로, 클래스 이름을 통해 요소의 구조를 명확히 표현한다./* Block */.card { }/* Element */.card__title { }.card__image { }/* Modifier */.card--featured { }.card__title--large { }/* 실제 사용 예시 */.header { }.header__navigation { }.header__logo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