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테이블복사생성
- Java
- git
- select즐겨찾기
- 이클립스느림
- 오버로딩
- sql error [947] [42000]: ora-00947
- java크롤링
- this
- sql error [936] [42000]: ora-00936
- 생성자오버로딩
- 오블완
- this()
- 이클립스형광줄
- 조건위치 효율성
- 프로그래머스
- 이클립스로딩
- error페이지 설정
- 티스토리챌린지
- ecleemma
- 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s
- Sequence
- 메모리낭비적은string연산
- 이클립스로딩지연
- 다형성
- 테크톡
- 우아한테크
- 이클립스무한로딩
- sql error [1] [23000]: ora-00001
- oracle
목록전체 글 (467)
코딩항해기

1. 확장팩 설치 (java, Gradle) 2. 프로젝트 생성상단 검색 창에 >Spring 검색을 통해 생성 도구를 불러올 수 있다. 잠시 로딩 시간 이후 버전을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나온다. 원하는 버전을 선택한다. 그 다음은 사용할 언어를 선택한다. 프로젝트와 패키지명도 정해준다.War를 선택하고,Java 버전도 골라준다.여기서는 주입할 dependency를 고르면 된다. 그러고나면 파일 탐색기가 켜지는데, 프로젝트를 생성할 폴더를 선택해주면 생성이 완료된다.

HTML 규약 및 관례HTML에는 다양한 규약과 최선의 관례가 존재한다. 이는 웹 페이지의 명확한 구조 및 내용을 정의하고, 간편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며, 웹 접근성 및 크로스 브라우징 문제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문서 형식 선언HTML 문서의 시작 부분에 적절한 문서형식 선언을 추가해야 한다. (HTML5 기준) 문서 구조 유효한 마크업문서는 유효한 마크업을 가져야 하며 W3C Markup Validation Service와 같은 도구를 사용하여 문서를 유효성 검사한다. 의미 있는 태그 사용 / 시맨틱 마크업 HTML5에서는 의미 있는 태그를 사용하여 문서를 정의한다. header, nav, section, article, footer 등의 태그를 활용하여 문서를 의미 있게 구조화한다..

form validation폼에 작성된 데이터가 서버로 전송되기 전 전송할 데이터들이 올바른 포맷으로 잘 입력되었는지 확인하는 과정이다. (=유효성 검증) validation 위치클라이언트 사이드가 좋을까 서버 사이드가 좋을까, 둘 다 장단점이 있으며 속도처리 면에서는 클라이언트가 빠르다. 태그 자체에 검사가 내장되어있어 submit 버튼을 누르기도 전에 에러 메세지로 알릴 수 있기 때문이다.하지만 서버만 가능한 검사 (데이터 비교 등등)도 있으므로 우위를 구분할 수 없다. 보안 측면에서는 둘 다 해야한다는 의견도 있다. (자바스크립트를 알면 쉽게 우회가 가능) 태그에 붙일 수 있는 validation 속성required필수 입력 필드 지정모든 input 타입minlength/maxlength최소/최대 ..
HTTP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는 웹에서 클라이언트와 서버가 데이터를 주고받기 위한 프로토콜이다. 웹 브라우저가 웹 서버에 웹 페이지를 요청하고, 서버가 이에 응답하는 방식으로 동작한다. HTTP의 특징무상태성(Stateless)HTTP는 기본적으로 무상태 프로토콜이다. 각각의 요청은 독립적으로 처리되며, 이전 요청의 정보를 가지고 있지 않는다. 이 특성 때문에 쿠키와 세션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었다. 클라이언트-서버 구조클라이언트가 요청을 보내면 서버가 응답하는 단방향 구조로 되어있다. 이는 클라이언트와 서버의 역할을 명확히 구분하여 각각 독립적으로 발전할 수 있게 한다. HTTP 메서드GET리소스 조회POST데이터 생성 및 조회PUT리소스 전체 수정PATCH리소스 일부..
인터넷은 어떻게 동작하는가? - Web 개발 학습하기 | MDN이 글에서는 인터넷의 개념과 작동 원리에 대해 설명합니다.developer.mozilla.org 인터넷의 가장 기본적인 내용은 컴퓨터들이 서로 통신 기능한 거대한 네트워크라는 것이다. 단순히 컴퓨터 간의 통신이 필요할 때, 컴퓨터들은 물리적, 또는 무선으로 연결이 되어 있어야한다. 이때 연결은 두 대로 제한되지 않고 원하는 만큼 연결할 수 있지만, 연결하고자 하는 컴퓨터의 수가 늘어날 수록 연결이 복잡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라우터가 있으며, 라우터를 시스템에 추가하면 단일 플러그만 라우터에 연결하면 되기 때문에 복잡해지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컴퓨터의 수가 더욱 많이 늘어나게 되면 라우터도 여러 개 달아 또 다른 라우터..
문자 인코딩문자 인코딩은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이진수로 문자를 변환하는 방식이다. 컴퓨터는 모든 데이터를 0과 1로 처리하기 때문에, 우리가 사용하는 문자를 컴퓨터가 이해할 수 있는 숫자로 변환해야 한다. ASCII가장 기본적인 인코딩 방식으로, 영문 알파벳과 숫자, 일부 특수문자를 7비트로 표현한다. 총 128개의 문자를 표현할 수 있으며, 확장 ASCII는 8비트를 사용하여 256개의 문자를 표현한다. EUC-KR한글을 표현하기 위한 초기 인코딩 방식이다. 완성형 한글을 지원하지만, 현대 한글의 모든 조합을 표현할 수 없다는 한계가 있다. UTF-8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는 유니코드 인코딩 방식이다. 영문은 1바이트, 한글은 3바이트로 표현하며, 전 세계의 거의 모든 문자를 표현할 수 있다. 가변 ..
데브옵스개발 Development + 운영 Operation 개발담당자와 운영담당자가 연계하여 협력하는 개발 방법론이다. 개발과 운영을 결합해 탄생한 개발 방법론으로 시스템 개발자와 운영을 담당하는 정보기술 전문가 사이의 소통, 협업, 통합 및 자동화를 강조하는 소프트웨어 개발 방법론이다. 이러한 개념은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과 지속적인 통합 등의 개념과도 관련이 있다. 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 Agile software development애자일 소프트웨어 개발은 팀 간의 협업, 고객 피드백, 유연한 계획을 통해 반복적이고 점진적으로 소프트웨어를 개발하는 방법론이다. 핵심은 변화를 수용하며 지속적인 개선을 추구하는 것이다. 계획과 문서를 기반으로 개발 모형이나 모델에 따라 앞을 예측하며 개발하는 것이 ..
SSHSSH(Secure Shell)는 네트워크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컴퓨터와 컴퓨터가 인터넷과 같은 공공 네트워크를 통해 서로 통신할 때 보안적으로 안전하게 통신을 하기 위해 사용된다. 마치 두 컴퓨터 간에 안전한 터널을 만들어 그 속에서 통신하는 것과 같다. SSH의 작동 원리SSH는 공개키와 개인키라는 한 쌍의 키를 사용하여 통신한다. 공개키는 자물쇠와 같고, 개인키는 그 자물쇠를 열 수 있는 열쇠와 같다. 공개키는 말 그대로 공개해도 괜찮은 키로, 이를 통해 데이터를 암호화할 수 있다. 하지만 암호화된 데이터는 오직 개인키를 가진 사람만이 복호화할 수 있다. SSH의 주요 용도원격 서버 접속: 물리적으로 멀리 있는 서버에 안전하게 접속하여 관리할 수 있다.파일 전송: SCP나 SFTP를 통해 파일..
국비가 끝나고 공부를 진행하면서 방향성을 잃었다는 느낌을 많이 받았었다.그러던 중 공부하는데 방향성이 되는 좋은 자료를 공유 받아 더 찾아보니 roadmap.sh 라는게 있었다. 들어가면 백엔드, 프론트엔드 등 분야를 고르면 알아야하는 지식과 방향성에 대해 로드맵을 제공해주고 있다. https://roadmap.sh/ Developer Roadmaps - roadmap.shCommunity driven roadmaps, articles and guides for developers to grow in their career.roadmap.sh 해당 사이트는 영어로 되어 있으며, 이 사이트에 올라와 있는 내용을 유저가 한글 번역해 올린 깃허브가 있다. https://github.com/Han-Kyeol/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