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SP (+JAVA Web) (27)
코딩항해기

EL (Expression Language)속성 값을 편리하게 출력하기 위해 제공된 언어이다.JSP 2.0 버전에서 새로 추가된 언어이며, 지시어로 불러왔던 값을 ${}로 간단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도와준다. Attribute 형식에서는 바로 ${cnt + 1} 등의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request.getAttribute("cnt") + 1과 같다.값을 찾을 때는 작은 Scope에서 큰 Scope로 넘어가며 값을 찾는다.(page -> request -> session -> application) Parameter 형식에서는 앞에 Parameter값을 불러온다는 것을 별도로 명시해야한다.${param.cnt} EL 연산자태그에서 ' 단어 연산자기호 연산자더하기++빼기--곱하기**나누기/div나..

헤더 header홈페이지 제일 상단 부분이다. 네비게이션과 검색파트가 있어 스크롤 상단에 항상 고정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푸터 footer모든 페이지의 맨 아래, 본문 내용 아래에 위치한 영역이다. 헤더와 푸터는 모든 페이지에 동일하게 사용되는 경우가 일반적이므로, 별도의 페이지로 만드는 경우가 많다.물론 모든 페이지에 복사 붙여넣기를 통해 구현할 수도 있지만, 수정사항이 생길 경우 모든 페이지를 전부 수정해야한다.당연히 하드코딩으로 인한 휴먼 에러가 증가하기 때문에 별도의 페이지로 만들어 연동하는 것이 좋다. 그렇다면 JSP에서 헤더와 푸터를 어떻게 연동해야할까, incloud incloud를 사용하면된다. incloud 속성에는 file이 있는데 해당 file에 header나 footer 파일 경로..

JDBC이긴한데 JSP에서 DB 연결할 때 사용하므로 JSP 카테고리에 정리했다.DB연결과 해제는 메서드로 만들어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그 형태가 패턴화되어있기 때문에 템플릿화된 코드라고 부른다. static을 사용하면 new 연산자 없이도 바로 메서드를 사용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JDBCUtil 메서드는 static으로 이루어져있다. 서버 동작 메세지가 전부 붉은 글씨라 일부러 정상 작동하는 부분은 out을 사용했는데, 아직 공부한 선에선 개인 취향에 가까운 것 같다는 생각이 들어 눈에 잘 띄는 방향으로 설정했다.공부하면서 발전시키면 더 좋은 JDBCUtil 파일이 될 수 있을 것 같다.package model;import java.sql.Connection;import java.sql.Driver..

response.sendRedirect()내장객체인 response의 sendRedirect() 메서드를 사용하는 것으로 요청을 보내 매개변수로 들어온 주소로 페이지를 이동한다. 사용 시 주의할 점 이러한 코드가 있고, 이전 페이지가 b.jsp라면 어느 페이지로 이동하게 될까?정답은 a.jsp이다. if문이 없더라도, history.go(-1)이 없더라도 alert창도 띄우지 않은 채 바로 이동해버리는데,그 이유는 실행할 시간이 없었기 때문이다. JSP는 Servlet 파일로 컴파일되어 실행되는데 컴파일 되어 alert창을 실행하기도 전에 다음 코드인 sendRedirect를 만나 새 요청을 받고 페이지를 이동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런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else문을 꼼꼼하게 넣어줘야한다.

JSP 태그JSP에서 사용가능한 태그이며 다양한 기능을 지원한다.JSP 태그 덕에 HTML 내부에 자바코드 사용이 가능해졌다. 지시자 태그 지시자 종류 page : 페이지 속성을 지시하는 태그 include : 다른 파일의 내용을 포함시키는 태그taglib : 태그 라이브러리를 지정하는 태그 선언 태그 변수, 메소드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선언 태그 안에 만든 변수, 메소드는 해당 페이지 안에서 언제든 사용가능하다. (전역변수와 전역메소드) 표현식 태그 변수, 메소드의 결과 값을 출력할 때 사용한다 스크립트릿 태그 자바코드를 삽입하기 위해 사용한다.자바코드를 자유롭게 사용할 수 있다. 주석 jsp 주석은 컴파일 자체를 막아버린다.일반 HTML 코드는 html주석을 사용해도 되지..

[JSP] 내장객체 (exception, out(PrintWriter))jsp에는 다양한 내장객체가 있다.그 중 exception과 out에 대해 정리했다. 내장 객체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를 말한다.미리 정의되어있어 따로 선언하지minibcake.tistory.com 지난 내장 객체에 이어 JSP 내장 객체 request와 response다.request는 요청, response는 응답으로 한 세트로 이뤄진다. HttpServletRequest request주로 Method의 요청 전달 방식을 확인할 때나 getParameter을 받아올 때 많이 사용된다.요청 전달 방식에는 GET과 POST가 있다. GETPOSTCRUDR에 주로 사용된다.CUD에 주로..

jsp에는 다양한 내장객체가 있다.그 중 exception과 out에 대해 정리했다. 내장 객체JSP 페이지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JSP 컨테이너에 미리 정의된 객체를 말한다.미리 정의되어있어 따로 선언하지 않아도 사용할 수 있다. Exception exception 내장객체exception은 어떤 예외가 발생했는지 알려준다.단, 일반 JSP 페이지에는 내장되어있지 않아 바로 사용하게 되면 오류가 발생한다. JSP 상단 설정에 isErrorPage='true'를 추가하여 해당 페이지가 에러 페이지임을 명시해줘야 사용할 수 있다.설정하고 나면, 을 통해 어떤 예외가 발생했는지 띄워줄 수 있다. 에러 발생이 에러 페이지에서 일어나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할 때 에러페이지를 통해 excep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