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JAVA (42)
코딩항해기
Java에는 데이터 타입을 바꾸는 형변환(casting)이 있다. 오늘은 그 중 세 가지 형변환에 대해 정리해보겠다. 첫째는 별 다른 조치 없이 자동으로 변환되는 자동형변환, 둘째는 특수한 조치를 취해줘야 변환되는 강제형변환, 셋째는 String의 메소드를 이용하는 문자열형변환이다. [자동형변환]자동형변환은 특정조건일 때 자동으로 형변환이 이루어진다. 정수 실수 연산을 거쳤을 때 (산술변환/일반산술변환)자바에서 이항연산자는 두 피연산자의 타입이 일치해야 연산이 가능하기 때문에 타입이 다르게 되면 형변환이 필요해지는데, 이때 컴파일러가 자동으로 형변환해주게 된다.이때 몇 가지 조건에 따라 형변환이 이루어진다.1. 더 큰 byte를 가진 타입으로 일치 (단, 기본 타입인 int보다 작은 타입끼리의 연산일 ..
자료형type크기예시기본값정수형byte1 byte-128 ~ 127 short2 byte-215 ~ 214 int4 byte-2,147,483,648 ~ 2,147,483,6474, -15, 0, ...0long8 byte92경 정도4L, -15L, 0L, ...0L실수형double8 byte소수점 15자리5.2, -6.2, 0.0, ...0.0float4 byte소수점 6자리4.3f, -5.3f, 0.0f, ...0.0f논리형boolean1 byte true, falsefalse문자형char2 byte ' ', 'a', 'A', ...‘ ‘문자열String "ab", "안녕", "true", "0", ...“” , null 정수형, 실수형, 논리형, 문자형은 원시타입이지만, 문자열 String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