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sql error [1] [23000]: ora-00001
- 조건위치 효율성
- 생성자오버로딩
- select즐겨찾기
- Sequence
- 테이블복사생성
- 우아한테크
- oracle
- 이클립스로딩지연
- ecleemma
- 이클립스형광줄
- Java
- 이클립스로딩
- this()
- 오버로딩
- java크롤링
- sql error [947] [42000]: ora-00947
- 이클립스무한로딩
- 테크톡
- 메모리낭비적은string연산
- 이클립스느림
- sql error [936] [42000]: ora-00936
- 다형성
- this
- git
- error페이지 설정
- 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s
- 오블완
- 티스토리챌린지
- 프로그래머스
코딩항해기
[프로그래머스] 코드연결하기 (JAVA, Python) 본문
JAVA
package src.test;
public class ModeStr {
// 문자열 code가 주어집니다.
// code를 앞에서부터 읽으면서 만약 문자가 "1"이면 mode를 바꿉니다. mode에 따라 code를 읽어가면서 문자열 ret을 만들어냅니다.
// mode는 0과 1이 있으며, idx를 0 부터 code의 길이 - 1 까지 1씩 키워나가면서 code[idx]의 값에 따라 다음과 같이 행동합니다.
// mode가 0일 때
//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짝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 code[idx]가 "1"이면 mode를 0에서 1로 바꿉니다.
// mode가 1일 때
// code[idx]가 "1"이 아니면 idx가 홀수일 때만 ret의 맨 뒤에 code[idx]를 추가합니다.
// code[idx]가 "1"이면 mode를 1에서 0으로 바꿉니다.
// 문자열 code를 통해 만들어진 문자열 ret를 return 하는 solution 함수를 완성해 주세요.
// 단, 시작할 때 mode는 0이며, return 하려는 ret가 만약 빈 문자열이라면 대신 "EMPTY"를 return 합니다.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out.println(solution("abc1abc1abc"));
System.out.println(solution(""));
}
public static String solution(String code) {
StringBuilder answer = new StringBuilder();
//mode변수 선언 기본값은 0
//만약 1이라면 mode를 1로 변경(1이었다면 0으로)
//아닌데 i값이 홀수이고 mode가 1이라면 현재 알파벳 누적
//아닌데 i값이 짝수이고 mode가 0이라면 현재 알파벳 누적
//전부 아니라면 아무것도 하지 않음
//전부 조건에 해당하지 않았다면 EMPTY
int mode = 0;
for(int i = 0; i < code.length(); i++){
char c = code.charAt(i);
if(c == '1'){ //모드전환신호라면
System.out.println("mode change");
mode = mode <= 0? 1 : 0; //모드 전환
continue; //다음 진행
}
//알파벳이라면
if((i%2==1 && mode==1)||(i%2==0 && mode==0)){//홀수인데1이거나 짝수인데0이거나
answer.append(c); //누적
}
}
if(answer.isEmpty()){//비어있는 경우라면 //JAVA 15부터 가능
answer.append("EMPTY");
}
return answer.toString();
}
}
JAVA완성 후 JAVA 풀이를 보니 mode와 홀짝을 따로 비교하지 않고 나머지가 mode일때로 비교하는 로직이 있었다.
해당 로직이 깔끔해보여 Python으로 풀이할 때 반영했다.
Python
def soloution(code) :
answer = ''
mode = 0
for i in range(len(code)):
if code[i] == '1': #만약 1이라면
mode = 1 if mode == 0 else 0 #mode전환
else: #알파벳이라면
if mode == i % 2: #홀수짝수 확인 및 mode와 비교
answer += code[i] #조건 만족 시 누적
return answer if answer else "EMPTY" # 빈 문자열일 경우 "EMPTY" 반환
print(soloution("abc1abc1abc"))
print(soloution(""))
그랬더니 Python 풀이에서는 한줄로.. 풀이한 게 있었다.
def solution(code):
return "".join(code.split("1"))[::2] or "EMPTY"
풀이해보면 들어온 문자열을 1을 기준으로 나눈 뒤에 취합한다 문자열을 처음부터 끝까지 2칸씩 건너뛰며 문자를 선택한다. 만약 결과물이 빈 문자열이라면 EMPTY를 반환한다.
'problem solving > 코딩 테스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그래머스] 최소공배수 lcm (Python) (0) | 2024.12.05 |
---|---|
[프로그래머스] 끝말잇기 (Python) (0) | 2024.11.26 |
[프로그래머스] 연속된 수의 합 (JAVA, Python) (0) | 2024.11.24 |
[프로그래머스] 로그인 성공? 문제 (JAVA, Python) (2) | 2024.11.23 |
[프로그래머스] JAVA, Python으로 문제풀이 (0) | 2024.11.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