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우아한테크
- select즐겨찾기
- git
- 다형성
- unresolved compilation problems
- oracle
- 오블완
- 이클립스형광줄
- 테이블복사생성
- 오버로딩
- 테크톡
- Sequence
- ecleemma
- 조건위치 효율성
- sql error [947] [42000]: ora-00947
- 이클립스느림
- 이클립스로딩
- 생성자오버로딩
- 티스토리챌린지
- this
- java크롤링
- 이클립스로딩지연
- 메모리낭비적은string연산
- error페이지 설정
- sql error [1] [23000]: ora-00001
- 프로그래머스
- sql error [936] [42000]: ora-00936
- this()
- Java
- 이클립스무한로딩
코딩항해기
[Git] Git-Hub로 그룹 프로젝트하기 : 팀 리더편 본문
깃허브로 그룹 프로젝트하기 (팀 리더 역할)
1. 리포지토리 생성
먼저 프로젝트를 진행할 리포지토리가 필요하다. 이 리포지토리를 만드는 방법은 일반 리포지토리를 만드는 방법과 동일하다.
(git-team-test라는 이름으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리포지토리를 만들었다.)
2. 팀원 초대
리포지토리를 만들었다면 팀원을 초대한다.
리포지토리를 보면 invite collaborators 버튼이 있다. 해당 버튼을 클릭하면 Manage access로 이동한다.
Manage access에서는 Add people을 통해 팀원을 초대할 수 있다. 초대받은 팀원은 메일을 통해 수락할 수 있다.
3. 프로젝트 환경 세팅
먼저 업로드할 초기 세팅 폴더에 들어가 로컬 깃 폴더로 만들어준다.
깃허브에서 해야할 명령어 종류를 친절하게 알려주고 있으므로 해당 명령어를 복붙해 사용해도 좋다.
초기 세팅 파일을 업로드 했다면 깃 허브에서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된 main 브랜치는 최종 프로덕트용 브랜치로, 공개되는 완성형 최종단계이다.
따라서 해당 main 브랜치에서 여러가지 시도를 하기보다는 완벽하게 검증된 코드만이 반영되야 하기 때문에 별도의 연습용 브랜치를 필요로 한다. (실무에서는 이 사이에 하나의 브랜치를 추가로 두기도 한다.)
4. develop 브랜치 생성 (개발자가 자유롭게 개발하는 브랜치)
git checkout -b develop 명령어를 생성하면 로컬 브랜치가 추가되는 동시에 develop 브랜치로 전환된다.
이 때 생성된 브랜치는 로컬에서만 있으므로 깃에도 추가해주기 위해 push한다.
push를 하면 추가 작업을 진행할 것을 안내한다. 알려준 명령어를 그대로 입력하면 깃 허브에서도 브랜치가 추가된 걸 확인할 수 있다.
5. main 브랜치 보호
main브랜치는 최종적으로 완벽한 코드만 올라가야하는데, 작업을 진행하다보면 예기치 못한 사건으로 개발 중인 코드가 업로드 될 수 있다. 이러한 실수를 막기 위해 main 브랜치에 함부로 push하거나 수정할 수 없도록 막아야한다.
팀 리포지토리 설정에 들어가 Branches 탭에 들어가면 branch rule을 설정할 수 있다.
참고한 영상에서는 classic protection rule을 사용해서 classic protection rule로 보호 설정했다.
보호 설정은 여러가지가 있는데 그 중에서 read only효과를 주는 lock과 업로드를 진행할 때 pull request를 반드시 진행하게 하는 설정을 추가했다.
이제 main브랜치에서 수정 후 push를 하면 push가 불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6. 프로젝트 보드 생성
작업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프로젝트 보드를 생성할 수 있다.
상단의 Projects 탭에서 New Project를 누른다.
어떤 식으로 프로젝트를 보여주고 관리할지 결정하는 탭이 나오는데, 참고한 영상에서 board타입을 추천해서 board타입으로 생성한다.
노션의 보드 보기와 유사한 느낌이다.
(아래 사진은 노션)
create를 누르면 project를 추가할 수 있는 페이지가 board 형식으로 나온다.
하단의 add item을 통해 project를 추가할 수 있다.
7. 깃 이슈 생성
6번에서 만든 project를 클릭하면 Convert to issue를 통해 만들 수 있다.
이때 누르면 리포지토리 옵션이 나오는데 팀 리포지토리를 골라주면 된다.
이슈화하고 나면 라벨 작성을 할 수도 있고 해당 프로젝트 브랜치를 만들 수 있다.
(Assignees에서 작업자를 지정할 수 있다)
8. 프로젝트 브랜치 생성
Development에서 Create a branch를 누르면 해당 issue의 브랜치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의할 점은 Branch source를 develop으로 변경해야한다. 개발이 이루어지는 코드를 가지고 있는 건 develop이기 때문이다.
Create하면 로컬 브랜치를 추가하는 명령어를 알려준다.
입력하면 프로젝트 브랜치로 전환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제 팀 프로젝트를 진행할 준비가 끝났다.
[출처 : 코딩 알려주는 누나]
'SCM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Git-Hub로 그룹 프로젝트하기 : 충돌편 (0) | 2024.09.24 |
---|---|
[Git] Git-Hub로 그룹 프로젝트하기 : 팀원편 (0) | 2024.09.23 |
[Git] git 기본 명령어 정리 (1) | 2024.09.22 |
[Git] push 특정 파일, 폴더 제외 (ignore) (0) | 2024.09.19 |
[Git] GitHub Desktop 사용법 - 기존 local 깃 폴더 관리 추가 (0) | 2024.09.06 |